JS 변수 만들기
변수는 어떤 특정한 요소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름을 붙여주는 것입니다. 긴 문자열이나 복잡한 데이터를 이해하기 쉬운 이름의 변수로 저장 하여 사용하면 해당 요소를 다루기 수월해 집니다.
변수를 만드는 방법은 'let' 이나 'const' 뒤에 변수 이름을 작명하고 '=' 로 해당 데이터를 대입합니다. 'let' 은 변화할 수 있는 데이터에 'const'는 변화하지 않을 데이터에 사용합니다.
변수명 만들 때 주의 사항
- 변수 이름은 한번만 선언해서 사용(같은 이름의 변수를 여러 번 선언하면 에러 발생)
- 변수명은 오직 문자와 숫자, 특수 기호 '$', '_' 만 사용 가능
- 변수명 첫 글자에 숫자 사용 금지
- 대문자와 소문자 구분
위의 자바스크립트는 '인사말' 이라는 변수에 "아이언맨 입니다." 라는 문장을 저장하고 화면에 글자를 표시하는 명령어인 document.write() 에 변수를 넣어서 실행한 명령문 입니다.
초보자들이 처음 변수를 사용할 때 보통 아무 의미 없는 'A' 또는 'B' 등으로 짧게 작명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변수명은 나중에 본인조차도 자신의 코드를 읽기 어렵게 만들 수 있으니 의미있는 변수명을 작명하는 것이 좋습니다. 예를 들어 여러 단어를 조합하여 변수명을 만들 땐 단어를 차례대로 나열하면서 첫 단어를 제외한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작성하는 카멜 표기법(camelCase)이 흔히 사용됩니다.(예 : myName = "아이언맨")
'웹프로그래밍 (J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 함수 (0) | 2022.12.04 |
---|---|
JS 반복문 (0) | 2022.12.01 |
JS 조건문 (0) | 2022.12.01 |
JS 자료형 (0) | 2022.11.27 |
자바스크립트(JS) 기초 (0) | 2022.11.24 |